본문 바로가기
기초 상식

출산 예정일 계산하기 다양한 방법을 알아봅시다

by peachflower 2023. 1.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피치플라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산 예정일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출산 예정일은 임신 기간 중 태아가
주수에 맞게 잘 크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요!

출산 예정일을 기준으로 태아의 크고 작음,
조산 여부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리 주기가 28일로 규칙적인 경우,
출산 예정일은 마지막 월경의 첫날부터 계산해
280일째 되는 날입니다.


마지막 생리일 계산법


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후 출산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267일입니다.
하지만 생리가 시작된 지 2주 정도가 지나
수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지막 생리가 
시작된 날로부터 280일 후를 출산 예정일로 봅니다.

마지막 생리 달수에서 3일을 빼거나
뺄 수 없을 때는 9를 더하고,
마지막 생리의 첫날에 7일을 더한
날짜가 출산 예정일입니다.

예를 들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이
2월 10일이었다면 2+9=11이므로
11월, 10+7=17이므로 17일이 됩니다.
즉 출산 예정일은 11월 17일입니다.


초음파 계산법

마지막 생리가 있었던 날짜를 정확히
알 수 없다면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예정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의 머리에서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재서
개월 수를 산출하면 됩니다.

다른 방법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예정일을 
알 수 있습니다. 초음파로 출산 예정일을
예측하는 방법은 보통 7주 전에는 태낭의 크기,
7~12주 정도까지는 태아의 크기, 그 이후에는
머리 크기로 예측합니다.


기초 체온 계산법

기초 체온이란 3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고 
잠에서 깬 후로 측정한 체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배란 전에는 체온이 36.1~36.3도를
유지하다가 배란 후에는 36.4~37도로 올라갑니다.

3~4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재야 자신의 배란일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경구 피임약을 복용했을 때는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으니 주의합니다.

체온이 저온을 나타내는 기간 중 마지막을
배란일로 생각해 여기에 38주, 즉 266일을 더하면
출산예정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자궁 저부 표준 높이 계산법

 

자궁저부의 높이란 골반 앞쪽 아래에 있는
치골부터 자궁의 가장 높은 곳까지의 길이로,
태아가 있는 자궁의 크기를 측정해 출산 예정일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임신 20~31주의 경우 비만이나 저체중인 
임신부를 제외하면 자궁저부의 높이를 통해
임신 주수를 거의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표준 자궁저부는 임신 6개월 말에 20cm,
7개월 말에 24cm, 8개월 말에는 28cm 정도입니다.


정상 출산 범위는?

출산 예정일은 추축으로 잡은 날짜이므로 
반드시 예정일에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초산부는 예정일보다 늦게 출산하는 
경우가 많고, 경산부는 예정일보다 일찍 출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산 예정일인 40주 0일을 기준으로 3주 전인
37주 0일에서 2주 후인 41주 6일까지 모두
정상 출산 범위에 속합니다.

예정일이 2주 이상 지나면 태반의 기능이 떨어져
태아의 건강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예정일이 지나도 출산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면
유도 분만을 하거나, 제왕절개로 출산을 하기도 합니다.




출처 NEW임신출산육아 대백과

지금까지 출산예정일을 계산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뵐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