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시기

임신 7개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by peachflower 2023. 3.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피치플라워입니다.^^

임신 7개월 차에는 태아의 성장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임신 트러블은 더욱 심해

지는 시기인데요!

 

특히 음신 후기를 건강하게 보내려면

임신중독증 예방에 힘써야 되는 시기입니다.

본격적으로 체중을 관리하고 음식도

골라 먹어야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신 7개월 차의 증상과

건강수칙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달의 증상은?

배, 가슴, 엉덩이에 임신선이 나타난다.

변비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배가 두드러지게 불러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렵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자궁이 가슴까지 올라와 호흡이 가빠지고

잠잘 때도 불편하다.

 

이달의 건강 수칙

체중관리에 신경 쓴다|

임신 후기에 주로 발생하는 임신중독증을

예방하려면 체중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임신 중 총 체중 증가량은 9~12kg이

바람직하며, 임신 5개월부터 

일주일에 500g 정도 증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임신 중기에는 커진 자궁이 장을 압박해

변비가 심해진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변비 해소에 효과가 있다.

대변의 대장 운동을 증가시켜 대장 통과

시간을 빠르게 하기 때문이다. 

 

현미, 콩, 채소류, 해조류, 과일에 섬유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유산균이 함유된 유제품도 효과가 있고,

아침 공복에 물을 한 잔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무리한 활동은 삼간다 |

임신 안정기에 돌입하면서 유산 위험은 

줄었지만, 조산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초기에 비해 컨디션이 좋다고 너무 무리해서

잦은 외출은 삼가고, 오래 서 있지 않고,

앉아 있을 때는 자세를 자주 바꿔준다.

 

또 무거워진 몸 때문에 행동이 둔해진 만큼

걸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임신 전에 운동을 즐기지 않던 임신부라면

가볍게 산책하는 것을 권장한다.

 

혈액순환이 좋아져 다리와 허리의 통증이

사라진다. 

식사직후나 햇빛이 강한 날은 피한다.

 

이달의 태교

이 시기의 태아는 엄마의 목소리에 

발차기 등을 통해 반응을 보인다.

끊임없이 말을 걸로 교감을 나누도록 한다.

배 쓰다듬기, 토닥거리기, 피아노 치기

손가락으로 두드리기, 아빠가 배를 감싸주기

자극을 주어 아이이에 신호를 주자

 

배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 아이는 뱃속에서

엄마의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인다.

또한 단순한 말투보다 감정을 담아 억양

을 사용하면 태아에게 더 잘 전달된다.

 

이달의 검사

빈혈검사 | 임신 중기에는 혈액량의 증가로

빈혈이 생기기 쉽다. 빈혈은 증상이 심해지기

전까지 자각증상이 없고, 빈혈이 생기면

분만 진행이 늦어져 태아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로 미리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빈혈일 경우에는 의사의 처방을 받아 하루 

두 번 또는 세 번 철분제를 복용해야 한다.

 

임신 7개월 체크리스트

섬유질이 함유된 음식을 챙겨 먹고 있나요?

짠 음식, 단 음식은 가급적 자제하고 있나요?

체중이 일주일에 0.5kg 이상 늘지 않게 관리하고 있나요?

걷기 등 가벼운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나요?

운동 후나 피곤할 때 충분히 휴식 시간을 가졌나요?

다리 마사지를 꾸준히 하고 있나요?

오래 서 있거나 걷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나요?

 

아빠가 챙겨주세요^^

튼살은 임신 초기보다 배가 나오는 

임신 6~7개월에 생기기 시작해 

막달에 가까울수록 심해집니다.

배가 나오기 전부터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관건!

손이 닿지 않는 아랫배나 허벅지

뒷부분은 남편이 발라주세요.

임신 중기에 생긴 우울증은 아이를 낳은 후에

도 계속돼 산후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아내가 유난히 감정의 기복이 심해지고 

사소한 일에도 예민해진다면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을 예방하고 완화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남편의 애정 표현,

대화와 스킨십으로 애정을 표현해 주세요^^

 

출처 NEW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지금까지 임신 7개월 증상과 건강수칙 

체크리스트 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합니다.^^

그럼 남은 하루도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