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시기

임신 8개월 검사와 건강 수칙 알아보기!

by peachflower 2023. 3.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피치플라워입니다.

임신 후기는 자궁 저부의 높이가 

최고에 이르는 힘든 시기인데요!

호흡이 가빠지고 소화불량이 나타나거나

식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조금씩 여러 번

나누어 먹는 것이 좋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신 8개월 시기의

증상과 건강수칙 체크리스트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 8개월 검사와 건강수칙 알아보기!


이달의 증상은?

자궁이 갈비뼈 아래까지 커져서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쓰리기도 한다.

피곤하면 배가 단단해지고 뭉치는 느낌이 든다.

 

얼굴이나 팔다리가 잘 붓고 다리에 

쥐가 나기도 한다. 

유방이 커지고 젖꼭지나 외음부의 색이

점점 짙어진다.

 

이달의 건강 수칙

조금씩 여러 번 나누어 먹는다 |

커진 자궁이 위를 압박하면서 위의 운동 능력이

떨어진다. 과식하면 속이 거북하고 체한 느낌이

들면서 소화가 잘 안 되니, 음식을 먹을 때는

소량을 여러 번 나누어 먹는다.

망간과 크롬을 섭취한다|

태아의 골격과 근육 발달에 좋은 망간과 크롬을

섭취한다. 망간은 골격 구조를 만들고

유지시켜 주는 영양소로, 녹색 채소의 호밀빵에

많이 들어있다. 크롬은 성장을 촉진시켜 주는

영양소로, 현미, 소간, 대합, 모시조개,

닭고기에 함유되어 있다.

 

조산에 대비한다|

임신 후기에 들어서면 조산을 걱정해야 한다.

자체 무리를 하거나 배에 자극이 잘 못

가해지면 언제라도 조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힘들다 싶으면 곧바로 휴식을 취하고, 

쉴 때는 되도록 편안하게 누워서 쉰다.

 

또 배에 힘이 가해지는 행동이나 격렬한 행동,

몸을 피로하게 하는 집안일 등은 자제한다.

조산을 고려해 아기의 옷과 육아용품,

출산 준비물을 미리 준비한다.

이달의 태교

임신 후기가 되면 뱃속 아기는 감정이 풍부해지고

외부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엄마가 우울해지거나 큰 소리를 내면 금세

불안해하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도 이 시기의 중요한 태교

 

엄마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드레날린,

엔도르핀, 스테로이드 등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것은 태반을 통해 전달돼

태아에게도 스트레스가 된다.

 

몸과 마음이 힘들 때는 무조건 휴식을 취하고

우울한 기분에 빠지지 않도록 노력한다.

이달의 검사

단백뇨 검사 | 임신중독증 등 합병증이

우려되는 시기고 소변검사로 단백뇨를 체크한다.

단백뇨가 검출되고, 고혈압, 부종 증상이 

동반된다면 임신중독증일 가능성이 높다.

 

초음파 검사 |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와

임신부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체크한다.

태아의 크기, 위치, 심장박동, 양수의 양

자궁경부의 상태 등을 체크해 태아가 

잘 자라고 있는지, 차후 자연분만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임신 8개월 체크 리스트
  1. 정기검진을 2주에 한 번씩 받고 있나요?
  2. 출산에 대비해 입원 시 필요한 물건을 챙겨두었나요?
  3. 출산 과정을 미리 공부하고 있나요?
  4. 육아용품을 준비하고 있나요?
  5. 배가 뭉칠 때는 충분한 휴식 시간을 가졌나요?
  6. 균형 잡힌 식단으로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고 있나요?
  7. 과식하지 않고 음식을 조금씩 자주 먹고 있나요?

아빠가 챙겨주세요^^

출산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려면 부부가 함께

출산 준비 교실을 나가거나 호흡법을 꾸준히

연습하도록 합니다.

 

남편도 분만의 보조 동작과 호흡법을 

반드시 습득해 주세요

장거리 외출은 삼가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고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아내와 함께 집 앞

공원을 함께 산책해 주세요

 

임신 후기에는 성생활을 할 때 강한 자극을 주면

조기파수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은 자극으로도 질이 상처받기 쉬우며

자궁 수축이 일어나기도 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임신 후기에 들어서면 한 달에 한번씩 하던

정기검진을 2주에 한 번 씩 받아야 합니다.

임신 말기로 갈수록 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

임신 중독증 등 여러 가지 위험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아내의 건강에 관심을 갖고, 힘든 집안일은

아빠가 최대한 도와주세요

 

출처 NEW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지금까지 임신 8개월 체크리스트와 

건강수칙 증상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뵐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