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기의 성장과 발달

8개월 아기 발달과 돌보기 건강 체크 알아보기!

by peachflower 2023. 6. 14.
반응형

 

8개월 아기 발달과 돌보기 건강 체크 알아보기!

생후 8개월 아기는 혼자 앉아서

잘 놀기 시작하고, 붙잡고 일어설 수 있는데요!

간단한 말을 이애하기 시작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후 8개월 아기 발달과

돌보기 건강 체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장 발달

완전하게 혼자 앉는다.

 

처음에는 바닥에 손을 짚고 등을 구부린 체

어설프게 앉지만 차츰 등을 쭉 펴고

혼자 앉아 장난감을 손에 쥐고 놀 수 있다.

 

쏘서 등에 태워도 등이 구부러지지 않고

잘 앉아있으면 필요할 때 잠깐씩 태워도 좋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손을 잡아 

일으키면 설 수 있다.

 

붙잡고 설 수 있다.

 

붙잡고 선 자세에서 힘 있게 체중을 

버티고 서 있을 수 있다.

손을 뻗어 앞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고 하고

조심스럽게 무릎을 굽혀 바닥에 앉을 수 있다

 

마마,빠빠 등의 소리를 낸다.

 

아직 의미 없는 말을 되풀이하는

옹알이가 대부분이지만

마마,빠빠 등의 소리를 낼수 있다.

종이나 딸랑이 같은 소리가 나는

물건을 자세히 살펴본다.

 

안아주세요 동작을 한다.

 

엄마의 얼굴을 보고 양팔을 들어 올리며

안아달라고 한다.

분리 불안이 심한 시기라서

엄마와 잠시도 떨어져 있지 않으려고 

하는 아기도 많다.

 

돌보기

거부하는 음식은 조리법을 바꿔 먹인다.

 

이유식을 2~3개월 진행하다 보면 아기가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생긴다.

아기가 잘 먹지 않는다고 계속 주지 않으면

앞으로도 편식을 하게 되고

영양 면에서도 불균형이 생긴다.

 

좋아하는 음식과 섞어서 먹이거나

조리법을 바꿔 

아이가 잘 먹게 만들어 먹인다.

 

스스로 먹도록 기회를 준다.

 

아직은 숟가락을 잡는 것도 서툴고 음식을 떠서

입으로 가저가다가 흘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아기에게 스스로 먹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자.

 

처음에는 손에 움켜쥐고 먹을 수 있는 과일이나

길쭉한 과자 등을 주고,

다음에는 잘게 썬 과일이나

자잘한 크기의 과자를 그릇에 담아

손으로 집어 먹을 수 있게 한다.

 

이유식을 먹일 떄도 처음 몇 번은

스스로 떠먹어보도록 해준다.

이런과정을 통해 아기의 소근육이

발달할 뿐만 아니라

음식에 대한 흥미도 높아진다.

 

작은 크기의 음식은 먹다가

사래가 걸릴 수 있으니

먹는 동안에 반드시 옆에서 지켜봐야 한다.

 

충분히 안아주고 사랑해준다.

 

생후 8~9개월부터 사회성 및

정서 발달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므로

충분히 안아주고 스킨십을 늘린다.

 

손 탈까봐 안아주지 않는 것은

아기의 정서를  더욱 불안하게 한다.

아기가 걷게 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면

엄마가 안아준다고 해도

품을 벗어나게 마련이다.

 

이 시기를 안정되게 잘 넘겨야

낯가림도 빨리  사라지고,

엄마에게만 매달리는 일이 없어진다.

 

건강

알레르기에 주의한다.

아기에게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는 식품은

달걀,우유,땅콩,밀가루,견과류

,어패류,갑각류 등이다.

 

특이한 점은 달걀,우유,콩에 의한

알레르기는 성장하면서

대부분 사라지는데,

땅콩,생선,갑각류 등은

어른이 되어서도 지속된다.

특히 땅콩 알레르기는

다른 음식 알레르기에 비해

심각하고, 태아에게 알레르기가

이어진다는 보고가 있어 임신 중

땅콩 섭취를 삼가도록 권하고 있다.

 

비만에 주의한다.

 

소아 비만은 만 1~2세 이전에 시작된다.

잦은 수유와 고열량 이유식은 소아 비만의

시작이 될 수 있다.

특히 아기가 보챌 때마다 분유를 먹인 경우

아기는 갈등이 생길 때마다 음식을 찾게되어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돌 이전 아기가 젖살이 통통하게 오르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팔다리에 너무 살이 쪄서

움직임이 둔하거나 월령에 비해

운동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면

이때부터라도 체중 관리를 해줘야 한다.

 

유아 비만 체크하는 카우프 지수

생후 6~12개월 아기의 비만 정도는

카우프 지수로 판단한다.

카우프 지수가 14.5 미만이라면 허약체질

16~18은 보통, 20이 넘으면 비만으로 본다.

 

하지만 이는 평균치로 카우프 지수가

20이 넘는다 하더라도 돌 전후로 젖살이

빠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카우프 지수는 체중÷신장으로 계산한다.


출처: NEW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지금까지 생후 8개월 아기 발달과

돌보기 건강 체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