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피치플라워입니다.
시험관 임신은 난자와 정자를 채취해
시험관 내에서 인위적으로 수정시킨 뒤
그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하는 방법인데요
시험관 임신의 성공률은 평균적으로
30% 정도이며 비용이 비싼 것이
단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험관 임신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시술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할게요^^
시험관 임신이란?
시험관 임신은 난자와 정자를 채취한 후
시험관 내에서 인위적으로 수정시킨 뒤
그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엄마의 몸에서 채취한 성숙한 난자와
아빠의 정액에서 채취한 정자를
체외에서 인공적으로 수정시킨 후,
시험관에서 2~3일 동안 배양해 다시
엄마의 자궁에 이식하는 것.
시험관 임신은 남성 불임, 나팔관
이상에 의한 불임, 자궁내막증,
면역학적 불임, 자궁 기형으로 인한 불임,
조기폐경, 원인 불명의 불임인 경우에 시도합니다.
최근에는 착상 전 유전진단(수정란 단계에서
유전 질환이나 염색체 이상이 있는지를 진단하여
병이 없는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함으로써
정상아를 임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
이 필요한 경우에도 임신을 시도합니다.
시험관 시술은 횟수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난소가 배란유도제에
반응하지 않는 폐경 상태가 아니면 시도할 수 있습니다.
시험관 시술을 하면 폐경이 빨리 온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근거 없는 속설입니다.
또한 시험관 시술을 많이 하면 몸이
상하게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데,
시술이 끝나고 2~3개월 정도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시술을 받으면 큰 무리가 되지 않습니다.
시험관 임신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고단백 음식과 과일, 채소, 곡류, 유제품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과체중인 경우 체중을
줄이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 엽산이 함유된 임신부용 종합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꼼꼼히 CHECK!
시험관 임신을 시도할 경우
정부에서 시행하는 '불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을 통해 총 4회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관 임신의 과정
1.시술 전 검사
시험관 시술 전에 엄마, 아빠의 몸 상태를
살피는 다양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자궁의 건강 상태와 배란 상태, 정자의 유무와
건강 상태 등을 확인합니다.
또한 시험관 시술이 진행되면 질식 초음파를
이용해 난자를 채취하는데 채취 과정에서
난소, 자궁 혈관 손상으로 복강 내 출혈이나
난소 출열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출혈성 소인이 있는지도 미리 검사합니다.
그 외에도 일반적인 간 기능 검사,
소변 검사,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2. 채란 시기 결정
시험관 임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성숙한
난자를 알맞은 시기에 채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대개 생리를 시작한 지 3일째 되는 날부터
7~10일간 배란유도제를 투여하고,
난포의 성장 정도를 알기 위해 초음파 검사와
혈액 검사를 하여 난자의 체취 날짜를 정합니다.
채란 시기가 정해지면 남편은 채란 3~4일 전부터
금욕하고 시술 당일 아침에 정액을 받습니다.
금욕을 하지 않을 경우 정액의 양과 밀도가
줄어들어 수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난자와 정자의 채취
난포가 성숙되면 정맥 마취 후 난자 채취용 주사침이
부착된 질식 초음파를 통해 난자를 채취합니다.
보통 질식 초음파로 난자를 채취하지만 난포가 너무
깊은 곳에 있어서 질식 초음파로 채취가 안 될
경우에는 드물게 복부 초음파 또는 복강경을 통해
난자를 채취하기도 합니다.
사정된 정액에는 미성숙 정자, 운동성이 떨어지는
정자, 수정을 방해하는 물질 등이 섞여 있으므로
운동성이 양호한 정자만 골라내기 위해
정자 처리 과정을 거칩니다.
간혹 정관이 선천적으로 생성되지 않았거나,
정관이 폐쇄된 경우와 정관 복원술이
실패한 경우에는 사전에 비뇨기가 과에서
수술을 통해 정자를 채취해야 합니다.
4. 체외 수정과 배양
배란 전에 채취한 난자는 밖에서 인공적으로
성숙시켜야 합니다.
채취한 난자를 성숙한 정도에 따라 분류한 후
배양액에 넣어서 6~8시간 배양한 후
준비된 정자와 혼합해 수정시킵니다.
5. 배아 자궁 이식
난자 채취 다음 날 정상적인 수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수정된 난자는
2~3일 동안 배양 과정을 거쳐 수정란이
4~8세 포기에 이르면 자궁 속에 이식합니다.
일반적으로 복부 초음파를 보면서 자궁경관을
통해 부드러운 관을 삽입해 이식하는데
자궁경관이 막혔거나 굴곡이 심해 이식이 어려운
경우에는 질식 초음파를 이용해 주사침으로
직접 자궁 내에 이식하기도 합니다.
6. 착상 결과 기다리기
배아 이식이 끝난 후에는 집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면서 착상이 되길 기다립니다.
난자를 채취한 지 12일경에 채혈을 해서
혈청검사를 통해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이
검출되는지 확인합니다.
이 호르몬이 검출되면 수정란이 착상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정확한 임신 여부는
난자 채취후 3~4주경에 초음파를 통해
임신낭(태낭)과 태아의 심장박동으로 확인합니다.
출처 NEW 임신 출산 대백과
지금까지 시험관 임신과 시술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하네요^^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어김없이
찾아올게요!
'임신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전 검사 산전 검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3.01.30 |
---|---|
고령 임신 어떻게 준비하는 게 좋을까? (0) | 2023.01.29 |
댓글